생활 정보/임신, 출산, 육아

산후 건강검진을 받아야 하는 이유와 검사 항목들

솔구리 2022. 10. 26. 14:10
반응형


산후 건강검진은 왜 받아야 할까?

출산 후 6주가 지나면 자궁이나 유방, 산도, 방광 등의 상태가 임신 전의 모습으로 돌아갑니다.

자궁의 크기가 원래 상태로 잘 돌아갔는지, 

산도나 방광 등에 세균이 감염되어 있지는 않은지 등을 확인하고

자궁암이나 유방암 등의 질환에 대해서도 검사를 통해 발견될 수 있기 때문에 검사를 받는 것이 좋아요.

검사는 출산 후 1~2개월 이내에 받는 것을 권고합니다.

 



검사 항목들에는 어떤 것들이 있을까?

ⓒ Clker-Free-Vector-Images , 출처 Pixabay

내진

자연분만을 했던 산모들의 경우에는 회음부 부위가 잘 아물었는지를 확인하고,

제왕절개를 했던 산모들의 경우에는 수술 부위가 잘 아물었는지 확인을 합니다.

오로나 질 분비물에 이상은 없는지도 검사합니다.

또한 출산 후 성관계 시기나 피임법 등의 정보를 얻을 수 있고,

피로감과 우울증 등의 문제가 생기면 상담도 할 수 있어요.

 

 

소변검사

분만을 할 때 질이 찢어지거나 회음부 주변이 약해지면 요도염이나 방광염에 걸릴 수 있습니다.

특히 제왕절개를 한 산모보다 자연분만을 한 산모의 경우에 더 많이 발생하는데요,

임신 전과 비교했을 때 소변보는 횟수가 잦거나 소변을 볼 때마다 통증이 있다면 의사에게 알려서 검진을 받으세요.

 

 

자궁경부암 검사

국가의 건강검진 항목이기도 한 자궁경부암 검사는 2년마다 무료로 받을 수 있기도 해요.

특별한 증상이 없어도 6개월이나 1년에 한 번씩 검사를 받는 것이 좋아요.

임산부는 보통 임신 초기에 자궁경부암 검사를 하기 때문에 출산 후 1~2개월 후에 검사를 받는 것이 좋습니다.

 

 

관절염 검사

임신과 출산의 과정을 거친 산모들의 관절은 약해져 있어요.

임신을 하면 몸무게가 늘어나 관절에 압박을 주고, 출산 과정에서는 관절 사이들이 벌어지면서 느슨해지기 때문에 관절염이 생기기 쉽습니다.

출산 후에 관절에 통증이 생겼다면 의사에게 상담하여 관절의 상태를 검사받으세요.

 


골반 초음파 검사

자궁의 상태를 검사합니다.

자궁 안에 태반 찌꺼기가 남아 있지는 않은지, 양쪽의 난소는 정상인지 등을 확인해요.

또한 자궁근종과 자궁암의 유무도 확인할 수 있어요.

특히나 임신 초기에 자궁근종을 발견했던 산모였다면 출산 후에는 반드시 검사를 받아야 합니다.

임신 중에는 호르몬의 변화로 자궁근종이 더 커졌을 수도 있기 때문이에요.

 

 

갑상샘 검사

임신 전에 갑상샘에 문제가 있었던 산모는 출산 후에 갑상샘 질환으로 발전했을 가능성이 높아요.

출산을 하고 4주 후에 검사를 하는 것이 좋습니다.

혈액검사를 통해 이상 여부를 확인하고, 이상 소견이 있으면 초음파 검사를 합니다.

초음파 검사는 피부 위에서 확인하기 때문에 크게 걱정하시지 않으셔도 됩니다.

 

 

 



산후에 생기는 이상 증상들은 어떤 것들이 있는지 포스팅해 두었습니다.

참고하시면 좋으실 것 같아요.▼▼▼
https://holiday.tistory.com/50

 

산후에 생기는 이상 증상

출산이라는 큰 일을 겪고 나면, 산모의 몸은 면역력이 많이 떨어져 있는 상태가 됩니다. 세균에 대한 저항력에 매우 약하고, 감염에도 매우 취약한 상태이죠. 산후에 나타나는 이상 증상들에 대

holiday.tistory.com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