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생아 분류, 미숙아 특징, 미숙아 키우기, 교정 연령
신생아의 분류
임신 기간 기준
만삭아 | 임신 기간 37~42주때에 출생한 아이. 대부분의 출생아가 이 범위에 해당한다. |
미숙아 | 임신 기간 37주 전에 출생한 아이. |
과숙아 | 임신 기간 42주 이후에 출생한 아이. 임신 기간이 길어도 발육 상태가 좋지 않아 아이가 저체중으로 태어나는 경우도 종종 있어요. |
출생체중 기준
정상 체중아 | 출생 체중이 2.5~4kg에 속하는 아이. 대부분의 출생아가 이 범위에 해당한다. |
저체중아 | 출생 체중이 2.5kg 이하인 아이. 1kg 미만인 아이도 집중적인 관리를 받으면 생존률이 높다. 저체중아의 3분의 2가 미숙아 입니다. 저체중으올 인해 선천성 기형이나 대사 장애를 동반하는 경우도 있어요. |
거대아 | 출생 체중이 4kg 이상인 아이. 임산부가 정상 상태에서 체중이 많이 나가는 경우도 있지만, 엄마가 당뇨인 경우에 거대아로 태어날 확률이 높아요. |
미숙아 특징
신체의 기관 발달이 미숙해요.
37주 이전에 태어난 만큼 정상 주수를 다 채우지 못하고 태어난 아이이기 때문에
모든 기관의 발달이 아직 미숙합니다.
뇌, 폐. 간 등의 기관이 미숙하고, 입으로 빨거나 삼키는 동작도 하지 못해요.
또한 땀샘도 덜 발달해서 체온 조절에도 어려움이 있어요.
영양이 부족해요.
아이는 출생 전 3개월 동안 집중적으로 영양분을 저장하는데,
미숙아는 그 기간을 다 채우지 못하기 때문에 영양이 부족한 상태로 태어나요.
철분, 칼슘, 비타민, 인 등의 영양분이 부족하답니다.
입으로 빠는 힘이 약한 것뿐만 아니라 소화 능력도 떨어지기 때문에
외부의 도움을 받아 영양분을 섭취해야 해요.
인큐베이터에서 튜브를 통해 특수 분유를 먹이거나 모유 혹은 모유 강화제를 섞어 먹이기도 합니다.
미숙아 키우기
퇴원 후에는 일반 분유
신생아 중환자실에 있을 때는 미숙아용 분유를 먹이겠지만,
퇴원 후에는 일반 분유를 먹여도 됩니다.
분유를 바꿔 먹일 때는 1~2주 정도 신생아실에서 먹였던 분유를 먹이고
천천히 새로운 분유로 바꿔주면서 적응할 수 있도록 해 주세요.
미숙아용 젖꼭지
분유 수유를 할 계획이라면,
미숙아용 젖꼭지를 사용해 주세요.
만삭아가 사용하는 것보다 재질이 부드럽고, 구멍도 커서
잘 빨지 못하는 아이가 힘을 덜 들이고 빨 수 있어요.
젖은 조금씩, 자주, 천천히 먹이도록 합니다.
미숙아의 위는 매우 작고,
젖을 빨고 삼키면서 숨 쉬는 동작을 동시에 못하기 때문에
젖을 먹기가 매우 힘이 들고, 한꺼번에 많이 먹지도 못해요.
따라서 젖을 조금씩, 자주, 천천히 먹이는 것이 중요한데요,
3시간에 한번 정도 먹이거나, 이보다 더 자주 먹여도 좋습니다.
젖을 먹이는 시간도 충분한 시간을 가지고 천천히 먹이도록 하세요.
하루 섭취량은
체중이 1.8~2.25kg인 아이는 330~420ml 정도,
체중이 2.7~3.6kg인 아이는 450~600ml 정도가 적당합니다.
**Tip**
아이가 젖을 먹을 때
숨 쉬는 동작과 삼키는 동작을 동시에 할 수 있는 시기는 임신 37주 무렵이 되니
그 이전에 태어난 아이는 숨 쉬는 동작과 삼키는 동작을 함께하는 것을 힘들어합니다.
수유 도중에 아이가 얼굴이 창백해 지거나 숨을 헐떡거리면서 호흡이 불안정하다면
바로 수유를 중단해 주세요.
교정 연령
미숙아로 태어난 아이의 나이는 몇 개월로 해야 할까요?
이유식을 먹일 때나 발달 체크를 할 때, 예방접종을 해야 할 때에 따라
아이의 교정 연령을 따르는 경우가 있고, 그렇지 않은 경우가 있어요.
교정 연령을 계산하는 방법
아이가 태어나 생활한 개월 수 - 일찍 태어난 개월 수
예를 들어, 3개월 정도 일찍 태어난 미숙아가 태어난 지 5개월이 된 경우
5 - 3 = 2
교정 연령은 2개월입니다.
미숙아의 교정 연령은 2~3세까지 사용하고,
생후 1~2년이 지나면 정상 아이와 비슷한 발달을 보입니다.
이유식을 먹일 때
교정 연령을 사용.
교정 연령으로 4~6개월 정도가 되었을 때 이유식을 시작하는 것이 알맞습니다.
이때가 되면 아이의 체중은 6~7kg 정도 되고, 고개를 가눌 수 있기 때문이에요.
하지만 아이의 발달이 다소 늦는 경우도 있겠죠??
아이가 제대로 앉을 수 있고, 입을 오물거리기 시작한다면 그때 이유식을 시작해도 괜찮아요.
예방접종
태어난 날짜를 기준으로.
예방접종일은 교정 연령을 사용하지 않고,
태어난 날짜를 기분으로 접종합니다.
예를 들어 임신 9개월에 태어난 아이가 2개월이 되었다면
생후 2개월에 해야 하는 DTaP 접종을 실시합니다.
생후 3개월(교정 연령이 2개월)에 접종하지 않습니다.
하지만!!!
신생아 백신인 BCG는 생백신이라 드물게 발열 증상을 유발하기 때문에
미숙아의 경우 신생아 치료실에서 퇴원한 후에 맞힙니다.
B형 간염의 경우도 아이의 체중이 2kg 이상이 되었을 때 접종하는 것이 좋습니다.
발달 체크
교정 연령을 사용.
발달 체크는 출생 예정일을 기준으로 하기 때문에 교정 연령을 사용합니다.
다시 한번 문제!
2개월 일찍 태어난 아이가 태어난 지 5개월이 되었다면?
5 - 2 = 3
생후 3개월이 된 아이로 보고 발달 체크를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