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기 대변 색깔, 대변 횟수, 변비 & 설사 대처법
아기의 대변 상태는 아기의 건강 상태를 알 수 있는 척도가 됩니다.
아기의 대변의 수분량은 충분한지, 색깔과 냄새, 횟수에 따라 아기의 건강 상태를 알 수 있어요.
아기 대변의 색깔
변의 색깔은 간에서 만들어지는 담즙 색소의 색입니다.
그리고 변 색깔은 여러 가지 영향으로 인해 색이 바뀝니다.
아기가 먹은 것에 따라 색이 조금씩 바뀌거나
소화액의 영향으로 변색되기도 합니다.
또한 장내에 머무는 시간, 장내 세균의 종류과 활동성 등에 의해 색이 달라질 수 있어요.
건강한 아기의 대변 색깔
황색
담즙이 간장에서 나올 때의 색은 갈색,
이것이 담낭으로 들어갔다가 나올 때는 진한 녹색,
십이지장으로 들어가면 진한 황색으로 변합니다.
건강한 변의 색깔이에요.
녹색
담즙의 색소가 장내에 오래 머무르면 산화되어서 녹색이 됩니다.
이 상태로 배설되면 녹색 변이 됩니다.
자연스러운 현상이니 걱정하지 않아도 되어요.
쑥색
아기가 이유식을 먹으면서
음식을 소화하는 시간이 길어지고 담즙이 장내에 오래 머물게 되어요.
그러면 점점 농축된 색, 쑥색이 나오기도 해요.
병에 걸린 아기의 대변 색깔
빨간색
아기의 변에 출혈이 있는 경우에 나타나는 증상인데요,
변 전체가 붉을 때에는 장중첩증이나 식중독(세균성 장염)이 의심되기 때문에
반드시 병원을 방문하여 진료를 받아야 합니다.
흰색
담도폐쇄증, 장관 아데노바이러스, 로타바이러스 위장염, 췌장과 관련한 병으로 인해
군데군데 하얗게 묻어나는 경우입니다.
흰색 변은 질병을 암시하기 때문에 반드시 병원 진료를 받으세요.
검은색
위, 소장 등의 소화기관 쪽에서 출혈이 일어난 경우에 검은색 변을 볼 수가 있어요.
반드시 진찰을 받아야 합니다.
대변에 섞여 나오는 것
- 먹은 음식을 소화시키지 못한 경우, 그대로 배설하게 됩니다.
- 소화관의 점막이 자극되어 점액이 배설되는 경우, 점액질이 섞여 나옵니다.
- 지방이 흡수되지 않았거나, 지방이 많은 음식을 먹었을 경우, 흰색 알갱이가 보이는 변이 나옵니다.
- 지방 덩어리와 섬유질이 섞인 상태에서 담즙에 의해 섬유질이 검은색으로 변한 경우, 검은색 알갱이가 섞여 있는 변이 나옵니다.
- 항문 가까이에 있는 점막이 찢어진 경우, 변의 일부분에 피가 묻어 나옵니다.
대변의 굳기
물기가 많은 변
아기의 변은 어른의 변에 비해 묽은 것이 보통의 변입니다.
아기가 이유식을 진행하면 변이 서서히 딱딱해지는데요,
수분 섭취량이 많아지면 묽어지기도 합니다.
굴러가는 변
토끼 똥처럼 떼굴떼굴 굴러가는 변을 본다면 변비에 걸렸을 가능성이 높아요.
혹은 장에 경련이 나타났을 때 이런 변을 보기도 합니다.
굵은 변
어른들의 변처럼 굵은 변을 누는 경우에는
오랫동안 변을 보지 못했거나 변비가 걸렸을 때입니다.
식이요법에 신경을 써 주세요.
혹은 아기의 장에 문제가 있는 경우도 있으니,
병원에 방문하여 검진을 받고, 약물 치료를 해야 하는지를 살펴보세요.
대변을 보는 횟수
모유에 비해 상대적으로 딱딱한 이유식을 진행하면
소화하는 데에 시간이 걸리기 때문에
변을 보는 횟수가 줄어들어요.
생후 12개월 무렵이 되면 하루에 2~3회 정도 변을 봅니다.
아기가 잘 먹고 잘 노는 경우에 변을 보는 횟수는 별다른 문제가 없지만,
간혹 먹을 때마다 변을 보는 경우가 있고,
그 증상이 심해진다면 진료를 받아서
정확한 원인을 파악하는 것이 중요해요.
설사와 변비의 대책
설사란?
평소의 변보다 굉장히 묽고,
냄새가 지독하면서, 변을 보는 횟수도 늘어났다면 설사입니다.
묽은 변을 보더라도 평소와 같고, 냄새가 심하지 않으며,
아기의 상태가 여느 때와 같다면 설사라고 하지 않아요.
아기가 설사와 함께 구토와 발열 등을 동반하고,
음식을 섭취하지 못한다면 병원을 방문하세요.
설사 대처법
설사로 인한 탈수가 되지 않도록
끓여서 식힌 물이나, 유아용 이온 음료를 마시게 해 주세요.
모유를 먹는 아기라면 섭취량을 줄여주시고,
분유를 먹는 아기라면 평소보다 3분의 2 정도 묽게 타서 먹이는 것이 좋아요.
위에 부담이 적고 소화가 잘되는 음식을 먹여 에너지를 보충해 주세요.
잦은 설사로 엉덩이가 짓무르지 않도록 신경 써 주시고,
기저귀를 갈아줄 때는 엄마 손을 깨끗하게 관리하여야 2차 감염을 예방할 수 있어요.
변비란?
평소보다 변을 보는 횟수가 줄고, 변이 딱딱하여 변을 볼 때 아기가 고통스러워한다면 변비입니다.
아기가 변을 2~3일 보지 않아도 아기의 상태가 좋다면 괜찮지만,
변을 볼 때 항문이 찢어지거나, 식욕이 저하되어 있다면 병원 진료를 받도록 하세요.
변비 대처법
장운동을 촉진시키기 위해
배꼽 주변을 마사지해 주거나, 다리를 체조를 하듯이 구부렸다 펴 주세요.
변을 묽게 만들어 주는 과즙을 먹이는 것도 한 방법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