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생활 정보/임신, 출산, 육아

모유의 성분, 모유수유의 장점, 모유수유에 좋은 음식 & 피해야 할 음식, 분유수유의 궁금증

by 솔구리 2022. 11. 26.
반응형

 

모유수유가 엄마와 아기 모두에게 좋다는 말은 많이 들어보셨을 거예요. 

모유에는 어떤 성분들이 있고 어떤 장점들이 있는지 알아보겠습니다.

 

 

 

모유의 성분

모유에는 아이에게 꼭 필요한 단백질, 지방, 수분, 미네랄, 비타민, 무기질 등이 풍부합니다. 

특히 초유는 일반 모유보다 영양 성분이 4배 이상 높기 때문에 꼭 먹이는 것이 좋아요.

 

초유 (출산 후 일주일 동안 나오는 모유)는 아기의 장 운동을 활발하게 해서 태변이 잘 나오도록 돕습니다.

태변이란 아기가 엄마의 배 속에 있을 때 양수와 함께 입으로 들어가 있던 것들이 아기의 대장에 있다가 나오는 것이에요.


모유는 전유와 후유로 나뉠 수 있습니다. 

전유는 수유를 시작할 때 처음 나오는 모유로 수분, 단백질, 미네랄, 비타민, 유당 등이 풍부합니다. 

후유는 전유가 나오고 후에 나오는 모유로 전유에 비해 지방 함량이 높아 포만감을 줍니다.

전유는 묽은 색을 띠고 후유는 뽀얀 색을 띱니다.

 

 

 

모유수유의 장점

면역력을 높여 감염을 예방해 줍니다.

아기는 엄마의 모유를 통해 면역력 체계를 전달받습니다. 

모유 안에는 백혈구를 포함한 항체들을 포함하고 있습니다.

모유를 먹고 자란 아기는 그렇지 못한 아기에 비해 장염과 호흡기 감염으로 인한 사망률이 낮고, 
여러 알레르기 질환을 예방하고 잔병치레가 적습니다. 

 

 

아기가 소화를 쉽게 할 수 있습니다.

모유를 먹은 아기는 분유를 먹은 아기에 비해 소화를 잘 시킵니다. 
엄마의 모유는 아기에 맞게 모유의 농도를 조절합니다. 
총열량의 50%를 차지하는 지질은 소화가 잘 될뿐더러 뇌 발달에도 영향을 줍니다. 

 


두뇌 발달을 돕습니다.

모유에는 DHA, AA(아리키 돈산)이 풍부하게 함유되어 있어 IQ 발달을 촉진합니다.



충치를 예방해 줍니다.

분유의 유당은 아기의 치아우식증을 생기기 쉽게 합니다. 

하지만 모유에는 치아우식증의 활동을 방해하는 효소가 들어 있습니다. 


산모의 난소암과 유방암 예방, 산후우울증에 걸릴 확률이 낮습니다.

모유수유를 함으로써,

생리 주기를 조절해 주는 호르몬이 제대로 분비되도록 하고, 

난소의 배란을 억제해 난소암의 발병을 낮춰준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모유수유를 하면 유방암에 걸릴 확률이 낮아지고, 

옥시토신이라는 호르몬이 모성애를 유발해서 산후우울증에 걸릴 확률도 낮게 됩니다. 

또한 모유를 먹이는 동안 엄마와 아이 모두에게 정서적 안정감을 줍니다. 

 

산모의 회복을 빠르게 합니다.

모유수유는 산모의 옥시토신 호르몬의 농도를 높입니다. 

옥시토신은 산모의 자궁을 수축하게 만들기 때문에 6주 정도 되면 자궁이 임신 전의 크기로 줄어듭니다. 

자궁이 빨리 수축이 되면 자궁의 출혈도 적어지고, 산모의 회복도 빨라져서 임신 전의 체중으로 빨리 돌아갑니다. 

또한 뼈의 미네랄화로 골다공증에 예방이 된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 Kate, 출처 Pixabay


출산을 하고 아기에게 모유수유를 하기로 마음먹은 엄마들은 출산 후에도 먹는 음식을 신경 써야 합니다.

모유수유를 위해서 산모는 하루에 300kcal 정도의 음식 섭취가 추가로 필요한데요, 

균형 잡힌 식사로 모유의 질을 높이는 것이 중요합니다.


아기는 엄마가 섭취한 음식물에 0.06~2% 정도를 모유를 통해 섭취하게 됩니다. 

엄마가 먹는 음식에 따라 모유의 성분이 달라지기 때문에 주의를 하는 것이 좋습니다.

그럼 모유수유에 좋은 음식과 주의해야 할 음식들은 어떤 것들이 있는지 알아보겠습니다.

 



모유수유에 좋은 음식 

해조류

미역은 산모들의 산후조리에 좋은 음식으로도 많이 알려진 음식입니다. 

미역, 굴 등의 해조류에는 요오드, 철분, 칼슘 등이 풍부하여 아기를 낳은 산모나 아기 모두에게 좋습니다.

 


푸른 잎 & 녹황색 채소

푸른 잎채소에는 시금치와 브로콜리 등이 있습니다. 

시금치는 철분 함량이 높고 흡수율도 높습니다. 

녹황색 채소에는 비타민, 미네랄, 철분, 칼슘 등이 많이 들어 있습니다. 

 

 

살코기 육류

살코기는 동물성 단백질로 아미노산이 풍부합니다.  



흰 살 생선

모유를 잘 나오게 하고 칼슘과 단백질 풍부합니다. 

생선은 수은 함량이 낮은 생선 위주로 드세요.



식물성 단백질인 콩은 고단백 저지방 음식으로 비타민과 칼슘 외에도 여러 영양소를 포함하고 있습니다.

 

 

수분

수유를 하면 아무래도 몸에 수분이 많이 빠져 갈증을 더 잘 느낍니다. 

산모의 젖을 잘 돌게 하기 위해서라도 물이나 주스를 마셔주세요. 

하지만 너무 과한 수분 섭취는 몸을 붓게 할 수 있습니다.

이뇨작용을 유발하는 음료도 피해 주세요.

 

 

과일

과일에는 수분이 많고, 과일 속의 비타민C가 철분의 흡수도 도와줍니다.

 



모유수유 주의해야 할 음식

매운 음식이나 향이 강한 음식

아기의 위를 자극할 수 있습니다.

 

 

카페인

카페인이 함유된 커피나 녹차 등을 하루 300mg 이하로 섭취를 제한합니다. 

 


차가운 성질의 과일

과도한 섭취 시 아기의 설사를 일으킬 수 있습니다.

 


우유

우유는 칼슘이 풍부한 음식이지만 아기에게 알레르기를 유발할 수 있어요.

또한 과하게 우유를 섭취한 산모의 모유는 아기의 체내 철분 흡수를 방해할 수 있다고 합니다.

 


기름진 고칼로리 음식

유선을 막아 유선염이나 젖몸살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   DesignDraw DesignDrawArtes, 출처 Pixabay


분유는??

분유는 모유 성분과 최대한 비슷하게 만들기 위해 영양소 함량을 맞추고, 아기가 소화하기 쉽게 만듭니다. 

분유 제조 업체마다 성분을 조금씩 다르게 만들기는 하지만 주된 성분은 일정합니다.


 

혼합수유를 통해서 분유 수유로 넘어가세요.

처음에 모유를 먹이다가 분유 수유로 바뀌는 경우가 있는데요,  

모유를 처음에 먹이고 분유를 20ml 정도 추가로 먹여봅니다.

아기가 분유를 잘 먹는다면 서서히 분유 수유로 바꿔줍니다.

 



특수 분유

아기가 설사나 알레르기 반응 등을 보일 때 먹이는 분유입니다. 

특수 분유에는 설사 방지 분유, 알레르기 특수 분유, 대두 분유 등이 있습니다. 

특수 분유는 의사와 상의 없이 먹여서는 안 됩니다. 

소아청소년과 전문의와 상의하셔서 먹이는 것이 중요합니다. 



분유 양은 얼마나 먹여야 할까? 언제까지 먹여야 할까?

분유는 아기의 몸무게 1kg 당 180ml 정도로 생각하면 됩니다. 

또한 생후 4~6개월부터는 초기 이유식을 시작하고, 8개월이 넘어가면서는 이유식 위주로 영양섭취를 하기 때문에

분유를 돌이 지나서까지 먹이게 되면 소아 비만이 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돌 전에 분유를 떼는 것이 좋습니다.



분유 수유에 대한 몇 가지 상식

  • 분유 타는 물은 '생수를 끓여서 식힌 물'로 합니다. 보리차는 생후 7개월부터 분유와 함께 타 주어도 됩니다.

 

  • 물의 온도는 손목에 분유를 떨어뜨려 약간 따뜻한 정도로 합니다. 분유를 타는 물의 온도는 50도, 아기가 먹는 물의 온도는 30~40도가 적당합니다.
     
  • 분유는 먹기 직전에 타서 먹입니다. 냉장고에 미리 보관하거나 데워서 먹이지 않습니다.

 

  • 먹다 남긴 분유는 다시 먹이지 않습니다. 남은 분유를 20분 이내로 먹인다면 괜찮습니다.

 

  • 분유가 젖병의 젖꼭지 끝부분에 조금 남아 있을 때 수유를 멈춥니다. 불필요한 공기의 흡입을 막기 위해서입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