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후조리원의 장점과 단점

보건복지부에 따르면 출산 후 산후조리원을 이용하는 산모가 80%가 된다고 합니다. (2021년 발표)
산후조리원에 들어간다면 어떤 장점과 단점이 있는지 알아보겠습니다.
산후조리원의 장점
산후조리에 전념할 수 있어요.
산후조리원에 들어가면 산모는 자신의 산후조리에 집중할 수 있어요.
산모는 몸과 마음의 안정을 취하면서 산후 회복에만 신경 쓰면 돼요.
아기는 산후조리원의 전문가가 대신 돌봐주기 때문에 마음 놓고 쉴 수 있어요.
산후 회복에 좋은 영양적인 식단이 제공됩니다.
산후 회복에 좋은 식단이 전문 영양사에 의해 다양한 메뉴로 나오기 때문에
산모는 필요한 영양분을 골고루 섭취할 수 있어요.
고기와 생선, 우유, 과일, 죽, 간식 등이 제공되며
출산으로 인해 체력이 많이 떨어진 산모가 빨리 회복할 수 있도록 돕습니다.
다양한 프로그램과 편의 시설을 이용
산후조리원에 있는 기간 동안 산모는 여러 가지 프로그램이나 편의 시설을 이용할 수 있어요.
부기를 빼기 위한 산후 전신 마사지나 유방 마사지, 체형 관리를 도와주는 요가 등은 산후 회복에 도움을 주도록 합니다.
아기 목욕시키는 방법, 기저귀 가는 방법, 아기를 안는 방법, 트림시키기, 모빌 만들기, 초점책 만들기 등을 배울 수 있는 프로그램 등이 있고,
유축기, 좌욕기, 족욕기, 파라핀, 스파, 온열기 등을 비롯한 편의시설을 갖추고 있어서 편하게 산후조리를 할 수 있어요.
다른 산모들과의 육아 정보 공유
산후조리원에 있는 프로그램에 참여하면 다른 산모들과 만나게 되는데
이때 서로 육아에 대한 정보 교환을 할 수 있어요.
자신의 출산 경험이나 현재의 상태 등을 공유하면서 이야기를 나누다 보면 친구도 사귈 수 있고,
서로 위안도 해주면서 우울증도 예방할 수 있어요.
소아과 전문의
병원 산하 산후조리원은 전문의의 도움을 빠르게 받을 수 있다는 장점이 있어요.
병원 산하 조리원이 아닌 경우에는 산부인과와 연계되어 있는 조리원들이 있고,
산후조리 기간 동안 소아과 전문의가 왕진을 와서 아기의 상태를 봐주는 시스템을 갖춘 조리원도 있어요.
산후조리원의 단점
신생아와 산모의 집단 감염과 산후조리원의 위생 상태
신생아들을 한 곳에 모아서 돌보기 때문에
질병에 걸린 신생아가 있다면 다른 아기에게도 전염이 될 수 있는 위험이 있어요.
또한 간호사 1명이 담당하는 신생아의 수가 몇 명인지도 중요해요.
돌봐야 하는 아기의 수가 너무 많으면 아기를 제대로 돌보기가 어려워
아기를 안아주지 못하고, 수유를 할 때도 젖병만 물린 채 지켜보지 않을 가능성도 커요.
산모들이 공동으로 사용하는 공간의 위생 상태에도 문제가 생기기 쉬워요.
이는 집단 감염의 우려가 있답니다.
비용
산후조리원 비용도 천차만별이고, 일반실과 VIP실의 비용도 차이가 많이 나는 편이에요.
산후조리원 비용은 적게는 100만 원에서 많게는 2000만 원까지 차이가 있어요.
아기와의 교감
엄마와 아기가 만나는 시간이 정해져 있어요.
대부분의 시간을 아기는 신생아실에 있고 엄마는 방에서 따로 떨어져 지내기 때문에 아기와 교감을 나누는 시간이 적어요.
단체 생활
여러 산모들과 함께 생활하기 때문에 단체 생활에 예민한 산모들에게는 스트레스가 될 수 있어요.
산후조리원에서 진행하는 프로그램에 참여하기 위해서는 정해진 스케줄대로 움직여야 하고,
편의 시설을 이용할 때도 여러 산모들과 마주칠 수 있기 때문에
개인 생활을 침해받을 수 있어요.
출산 후에 지친 몸과 신경이 예민해진 산모라면 더욱이 단체 생활에 불편함을 느낄 수 있어요.
면회 시간
정해 놓은 면회 시간 외에는 아기를 만날 수 없어요.
면회도 직계 가족들만 가능한 경우가 많고,
코로나와 같은 감염 질병이 유행하는 경우에는 아기와 산모의 안전을 위해
면회가 가능하지 않는 경우가 많아요.
산후조리 잘하는 방법에 대해 궁금하시다면 아래의 링크를 참고해 주세요.▼▼▼
https://holiday.tistory.com/53
산후조리 잘하기!! 산후조리의 기본원칙
출산을 마치고 6주간은 산욕기라고 하여 임신 전의 상태로 돌아가는 시기를 말합니다. 산욕기 동안 산후조리를 잘해서 건강하게 임신 전의 상태로 돌아가도록 하는 것이 좋겠죠? 그렇다면 어떻
holiday.tistory.com